800

책리뷰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Carrie lee 2021. 7. 25. 00:40
728x90
300x250

책리뷰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다치바나 다카시

 

역사의 흐름 속에서 개인의 삶을 기록하는 방법

 

누구나 자기 역사를 쓸 수 있다.

글을 길게 쓸 수 있는 가장 큰 비결

머리말과 후기는 어떻게 쓸 것인가.

자기 역사 연표 만들기

인간관계 클러스터 맵 만들기

에피소드 수첩 만들기

결말은 어떻게 쓸것인가

728x90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초판 1쇄 발행 2019년 8월 14일

지은이 다차바나 다카시

옮긴이 이언숙

펴낸곳 바다출판사

책가격 17800원

인간은 모두 죽는다.

한 인간의 죽음과 함께 많은 것을 잃게 된다.

그 사람의 머릿속에 있던 기억을 잃게 된다.

그 사람의 기억을 잃음과 동시에 그 사람의 기억과 이어져 있던 네트워크의 해당 부분이 빠져 나가고 만다.

세계는 만물의 집합체로서 존재하며, 동시에 동시대를 구성하는 많은 인간들이 공유하는 장대한 기억의 네트워크로서 존재하고 있다.

이 세계의 주요한 구성 요소로 장대한 전 인류적 기억의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한 인간이 죽으면 그 사람의 뇌가 담당하고 있던

장대한 세계 기억 네트워크의 해당 부분이 소멸하고 만다.

한 인간 몫의 구멍이 생긴 기억 네트워크는 이전과 같을 수 없다.

세계 기억 네트워크의 콘텐츠는 세계의 구성원들이 하나씩 시시각각 빠져 나갈 때마다 조금씩 변해 간다.

어떤 민족의 역사라도 미시적으로 살펴보면, 

민족 구성원이 가진 자기 역사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거지적인 시각을 가지고 역사의 큰 움직임을 주시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역사의 실상을 들여다 볼 수가 없다.

미시적인 부분에도 눈을 돌려 그 시대를 구성하고 있던

민족의 전 구성원 개개의 생각까지 포함한 자기 역사의 집합체로서 역사를 다룰때

비로소 진정한 민족의 역사가 되는 것이다.

 

차례

머리말 자기 역사를 쓴다는 것

1장 자기 역사란 무엇인가

글을 길게 쓸 수 있는 가장 큰 비결

머리말과 후기 쓰는 방법

자기 역사를 기록하는 두 가지 의의

트라우마를 기록해 자신을 치유하다

가장 중요한 포인트, 자기 역사 연표 만들기

자기 역사의 모델, 니혼케이자이 신문, 나의 이력서

글 첫머리를 쓰는 방법

자기 역사는 에피소드의 연속이다.

 

2장 자기 역사 연표 만들기

연표는 자기 역사의 콘티

자신의 인생을 크게 구분해 본다.

자료를 정리하면 기억이 되살아난다.

인생을 네 개의 축으로 표현한 연보

인생의 충실도를 그래프로 표현한 연보

전문가의 손길이 닿은 정교한 작업 연표

독특한 차력 연표

 

3장 무엇을 쓸 것인가?

많이 쓰고 많이 읽는다

세대를 반영한 자기 역사의 좋은 예

사례1 부모와 자녀 2대가 함께 쓴 자기 역사

사례2 사이타마 판 24개의 눈동자

사례3 전공투.고도 경제성장의 시대를 살아내다.

가족과 연애에 대해 쓰는 방법

사례4 연애 그리고 가족사의 모델

사례5 독특한 인생관과 미래의 자기 역사

인간관계 클러스터 맵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해서 쓴다

결말을 쓰는 방법

인생에서 진정으로 이기는 방법

 

맺음말

 

 

이 책은 릿쿄대학에서 2008년에 시작한 시니어 세대를 위한

교육과정인 릿쿄 세컨드 스테이지 대학이 개설한 강좌

현대사 속의 자기 역사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그래서 많은 수강생들.

입학자격이 50세 이상이니 

어르신 들의 글을 읽을 수 있다.

 

수강생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자신의 지난 시간에 대해 정리를 하기도 했다.

 

그리고 

자기 역사를 쓸 때마다 자신의 생각이 변화한다.

라는 말도 한다고 한다.

 

사람은 그 사람이 처한 환경 속에서 열심히 살아 갈 수 밖에 없다....

나도 내 지난 시간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은 늘 하는데..

그게 또 생각처럼 되진 않는다.

오늘부터라도 매일매일의 기억을 잘 남겨봐야겠다고 또 한 번 다짐은 해 본다.

 

그리고 나의 미래역사도 한 번 써 봐아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