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책리뷰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

Carrie lee 2021. 7. 4. 21:57
728x90
300x250
728x90

책리뷰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
당신의 부에 영향을 미치는 돈의 심리학


돈을 보는 관점이 그 사람의 인생을 좌우한다.

인문학과 과학적 분석기법으로 탄생한 상식을 뒤엎는 돈의 심리학

수입, 소비, 지출, 저축 등 당신의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돈의 심리학에 대한 모든 것

심리학은 어떻게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는가.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

펴낸날 2021년 3월 30일
지은이 저우신위에
옮긴이 박진희
출판사 다빈치하우스 미디어숲
가격 16800원

그 사람을 알고 싶다면 그의 돈이 어디로 가는지를 봐라
- 경제학자 머턴 밀러 Merton Miller

차례

추천사 돈에 관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
추천사 돈을 이용한 독심술
저자 서문 그 사람을 알고 싶다면 그의 돈이 어디로 가는지를 보라.

1장 돈과 심리 - 돈에도 감정이 있따.
1. 나는 돈의 주인인가, 노예인가
2. 돈 때문에 상처받지 않는 법
3. 돈을 좇다 보면 재미없는 인간이 된다.
4. 착시 현상이 만든 부자들의 행복
5. 돈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
6. 돈에도 희로애락이 깃들어 있다.
7. 돈으로 유혹하는 상대를 조심하라.
8. 더러운 돈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9. 얼굴값은 도대체 얼마일까
10. 키와 수입의 보이지 않는 상관관계
11. 돈을 쓸 줄 모르면 돈의 노예가 된다.
12. 어떤 사람들이 돈을 숭배할까
13. 돈은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좁힌다.
14. 립스틱 경제의 셀프 응원 효과
15. 운을 위해 투자하는 대신 좋은 일에 써라.
16. 돈은 죽음도 두렵지 않게 한다.

2장 돈과 사회생활 - 돈을 알면 세상 돌아가는 원리가 보인다.
1. SNS 스토리에서 나는 가장 가난한 사람일까
2. 돈 자랑은 혼자가 되는 지름길
3. 섹시한 셀카 뒤에 숨겨진 경제학적 의미
4. 나와 돈 사이의 심리적 거리
5. 숨겨진 빈곤 인구의 감춰진 심리
6. 언제나 벌금은 옳다?
7. 돈을 똑같이 나누면 공평하다고 느낄까
8. 숨 막히는 보상을 조심하라.
9. 돈을 달라고 하기 전에 시간을 달라고 하라.
10. 형편에 따라 기부를 권하는 방법이 달라야 한다.
11. 기부하는데 얼굴이 왜 중요해
12. 대중의 지갑을 쉽게 여는 '피해자 신원 효과'
13. 왜 구세군 모금함을 보고도 못 본 체하는 걸까.

3장 돈과 소비행위 - 합리적 소비일까, 함정에 빠진 걸까
1. 한 푼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
2. 왜 화장품은 제값 주고 사면서도 아깝지 않을까
3. 말뚝 효과. 말도 안 되는 가격에 속아 넘어간다.
4. 흔한 오류, 남들은 덤터기를 쓸 것이다.
5. 비싼 것이 좋다 는 말의 진실
6. 비싼 레스토랑과 저렴하지 않은 레스토랑 중 어디로 가고 싶은가
7. 왜 어떤 악당은 환호를 받을까
8. 돈을 쓰느냐 안 쓰느냐는 핑계대기 나름이다.
9. 남에게 돈을 쓰면 두 배로 행복해진다.
10. 행복해지고 싶다면 물건보다는 경험을 사라.
11. 물건 살 때 주머니에 손을 넣으면 돈을 아낀다.
12. 돈을 절약하고 싶을 땐 액면 효과
13. 온라인 쇼핑에서 판매자의 함정 피하기
14. 환율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
15. 현금과 전자화폐의 영향력
16. 할인이 오히려 손님을 내쫓는다고?
17. 소비자가 느끼는 지불의 고통을 줄여라
18. 심리적, 시간적 거리가 돈의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
19. 손실 회피가 언제나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4장 돈과 가정생활 - 비극의 80퍼센트는 모두 돈과 관련 있다.
1. 시간을 황금 보듯 하는 것은 좋지 않다.
2. 돈을 낭비하게 하는 뜻밖의 주범
3. 저축을 늘리는 3가지 방법
4. 예산을 줄이고 싶다면 데드라인을 설정하라.
5. 공동 계좌가 소비에 미치는 영향
6. 가난은 자제력을 잃게 만든다.
7. 돈이 많다고 더 좋은 부모는 아니다.
8. 어떤 아이가 자라서 돈을 더 많이 벌까
9. 이제 개천에서 용 나오기는 힘들다.

5장 돈과 도덕적 평판 - 부자와 가난한 자의 도덕 수준
1. 돈과 양심이 부딪칠 때
2. 돈이 악마도 쫓는다고?
3. 돈으로 자격증과 장기를 살 수 없는 이유
4. 부자와 빈자 중 누가 더 인색할까
5. 돈을 보면 더욱 이기적으로 변한다
6. 경제학 지식이 도덕에 미치는 영향

목차, 차례만해도 엄청 많다.

차례를 쓰면서 그 내용이 하나씩 기억이 나니 재밌다.
각각의 제목마다 거의 실험이나 통계같은 것들이 하나씩 있어서 더 기억하기 쉬운 것 같다.

사람은 신념에 따라 행동한다.
그리고 그 신념은 곧 자기 자신이 되고
어떤 마음으로 살아갈지를 결정한다.
돈은 이러한 자기중심적 경향을 더 강력하게 만든다.

돈에는 희로애락이 깃들어 있어서
긍정적 태그가 달린 돈은 소비를 통해서 즐거움을 얻고
부정적 태그가 달린 돈은 가급적 남을 돕는 등 보다 실용적인 일에 쓰인다고 한다.

가정형편과 뇌 구조의 관계
부모가 돈을 많이 벌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아이의 대뇌피질 면적이 더 넓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독해나 언어, 공간 지각 등 다양한 방면에서 더 특출날 수 있다고 한다.
또 스스로 통제하는 능력도 우수하다고 한다.
하지만 부모의 수입이 어느 평균 이상이 되면 더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한다.

부유한 가정의 아이들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평균 3천만 개의 단어를 듣는다고 한다.
부유한 집안의 언어적 교류가 더 풍부하고 다양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아이들의 언어 능력을 길러주고 싶다면
가능한한 많은 단어를 사용해서 아이와 교류를 하고,
책도 많이 읽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운명은 우연이 아닌 선택이다.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성취하는 것이다.
-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

728x90
반응형